블룸필터란

수많은 양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에는 부하가 뒤따릅니다. 이를 위해 선형탐색을 사용한다면 너무나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입니다. 이진 탐색도 좋은 방법이지만 더 나은 방법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어떤 집합에 특정원소가 있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Membership Testing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Membership Test를 위한 자료구조에는 Bloom filter, AVL, red-black tree등이 있습니다. 이중 Bloom filter는 확률적 자료구조로 에러를 허용하는 대신 공간복잡도를 낮추었습니다.

 

Bloom Filter는 Burtoon H. Bloom이 1970년의 논문 Space/Time Trade-offs in Hash Coding with Allowable Errors에서 제안한 확률적 자료구조입니다.

Working

Bloom Filter는 다음과 같이 m개의 비트로 구성된 bit 배열 자료구조입니다.

image

Insert

주어진 input값(test, )에 대해 k개의 hash function(h1,h2,h3,...,hk)을 통해 hash를 계산합니다.(3개의 hash function을 사용한다 가정하겠습니다.)

// input : test
h1(test) % 10 = 0
h2(test) % 10 = 3
h3(test) % 10 = 7
// input  : monkey 
h1(monkey) % 10 = 3
h2(monkey) % 10 = 4
h3(monkey) % 10 = 5

image

)

image

Lookup(Membership Test)

Membership Test는 동일한 input을 주어 필터에 해당하는 해시값이 모두 1로 설정되어있다면 해당 input값이 존재할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False Positive

거짓양성(False Positive)는 값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해당값이 존재할것이라 판단하는것을 말합니다.

// input  : bloom
h1(bloom) % 10 = 3
h2(bloom) % 10 = 5
h3(bloom) % 10 = 7

image

예를들어 위와 같이 'bloom'이라는 input을 조회했을때 해시값이 모두 1이므로 해당 값이 존재할 것이라 판단하게 됩니다. 하지만 bloom은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이를 거짓양성(False positive)라고 합니다.

이러한 거짓양성의 발생률은 Bloom Filter의 크기를 조절하여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Bloom Filter를 위해 더많은 공간(hash function, bit array)을 할당할수록 거짓양성률이 낮아집니다.

Space Efficiency

값을 저장하는 배열, 연결리스트, 해시맵, 트리와 같은 자료구조는 실제 값을 저장해야 하지만, Bloom Filter는 실제값을 저장하지 않고 bit array를 통해 표현하기 때문에 공간 복잡도가 낮습니다. 다만 이는 hash collision을 유발합니다.

Hash Collision(해시 충돌)
Hash table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못해 서로다른 입력값이 동일한 hash값을 가지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Bloom Filter의 종류(Classification)

  • Standard Bloom Filter(SBF) : 전통적인 블룸필터로 거짓 양성과 거짓음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거짓양성은 비트 배열의 크기가 충분히 크기 못할때 발생하며, 거짓음성은 원소를 삭제할때 일어납니다. 이러한 문제때문에 SBF는 원소를 삭제할 수 없습니다.
  • Counting Bloom Filter(CBF) : SBF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하였으며, 비트배열에 카운터를 포함합니다. 삽입연산이 발생하면 카운터를 증가시키고 삭제연산이 발생하면 카운터를 감소시켜 삽입/삭제가 가능하도록 구현하였습니다. SBF에 비해 거짓 양성의 비율이 매우 높고, 삭제연산으로 인해 거짓 음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Fingerprint Bloom Filter : CBF기반으로 만들어 졌으며 binary bit를 사용하는 대신 작은 크기의 hash값을 사용하여 CBF의 높은 거짓 양성률을 해결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로인해 CBF에 비해 높은 공간복잡도를 보입니다.
  • Hierachical Bloom Filter : 트리구조의 Bloom filter로 높은 정확도, 확정성, 그리고 낮은 거짓 양성률을 보입니다. 대표적으로 Forest Structured Bloom filter, Bloom Store가 있습니다.
  • Multidimensional Bloom Filter(MDBF) : 다차원의 Bloom filter 배열을 사용합니다.
  • Compressed Bloom Filter : 공간 효율적인 Bloom filter이지만 압축률이 높아질수록 거짓양성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활용

그림 출처: 위키피디아 블룸필터 문서

Bloom Filter는 위의 그림과 같이 Filter는 메모리에 두고 실제 데이터는 Storage에 저장하여 디스크 접근시간으로 인한 성능저하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경우에도 거짓 양성으로인한 불필요한 디스크 접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